WELCOME TO SHOP

    회원가입을 하시면 다양한 혜택과 이벤트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 번역·해제집 6

    상품 정보
    상품명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 번역·해제집 6
    정가 ₩31,000
    판매가 ₩27,9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ISBN 9791160688016
    출간일 20240331
    구매방법
    배송주기
    상품 옵션
    배송
    수량
    down up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온오프버튼  

    구매하기

     

    책소개

    이 책에는 1930년대 전라도·충청도·평안도 지역의 지방의회 회의록 중 그 시기 지방의회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회의록들을 선별하여 수록하였다. 도평의회·도회 6건, 부협의회·부회 7건, 면협의회(지정면)·읍회 11건으로 총 24건의 지방의회 회의록을 수록하였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Ⅰ. 도평의회 회의록

    1) 제8회 평안남도평의회 회의록 발췌
    2) 제13회 평안북도평의회 회의록
    3) 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1일)
    4) 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3일)
    5) 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6일)
    6) 제1회 충청북도회 회의록 발췌 제2일

    Ⅱ. 부협의회·부회 회의록

    1) (군산) 부협의회 회의록(제3일)
    2) 제5회 군산부회 회의록(제1일)
    3) 제40회 군산부회 회의록 발췌(제1일)
    4) 제9회 전주부회 회의록
    5) 제5회 대전부회 회의록(사본)
    6) 제8회 평양부회 회의록(제1일)
    7) 신의주부 부회 회의록(제1일)

    Ⅲ. 면협의회·읍회 회의록

    1) 1930년 제4회 광주면협의회 회의록
    2) (광주읍회) 회의록
    3) (광주읍회) 회의록
    4) 전주면협의회 회의록
    5) 전주읍회 회의록
    6) (공주면협의회) 회의록(제1일)
    7) (공주면협의회) 회의록(제2일)
    8) (공주면협의회) 회의록(제3일)
    9) 대전읍회 회의록
    10) 의주읍 제1회 회의록(제2일)
    11) 1935년 제9회 정주읍회 회의록

    저자소개

    천지명

    출판사리뷰

    지방의회 회의록은 지방행정 실태와 지역 권력 구조의 실상을 밝히는 데 필수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지방의회는 그 지역의 산업·경제, 문화, 환경, 관습, 제도, 지역민의 욕구, 취향 등 지역민의 생활과 직결된 다양한 영역이 총체적으로 동원된 네트워크였다. 지방의회는 그 지역의 역사적 고유성과 차별성이 빚어낸 집단적 사고방식, 생활습관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운영되었는데, 지역의 역동성을 가장 실체적으로 드러내는 자료는 지방의회 회의록이다.

    본 연구팀은 국가기록원 문서군에 흩어져있는 지방의회 회의록 약 5천 건을 추출하여 연도별, 지역별, 행정단위별 등 여러 범주에 따라 분류 가능하도록 체계화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활용되던 지방의회 회의록을 종합하여,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사회운동·일상 등 모든 분야에 걸친 식민지 사회 연구의 토대 조성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시기는 일제 통치방식의 변화가 지방의회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여 1920년대(1기), 1930~1937년 중일전쟁 이전까지(2기), 1937~ 1945년 해방까지(3기)의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1시기는 1920년 부제와 면제시행규칙 등 지방제도가 개정된 후 도평의회가 설치되고 부협의회와 면협의회 선거를 실시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2시기는 1930년 개정된 지방제도로 도평의회가 도회로 개정되고 부회와 읍회가 자문기관이 아닌 의결기관이 된 시기이다. 3시기는 중일전쟁 이후 사회 각 전반에서 통제정책이 시행되고 지역 사회의 공론장이 위축되며 지방 참정권이 극도로 제한된 시기를 포괄한다.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이 총서의 1~3권은 1시기에 해당하며, 4~6권은 2시기, 7~9권은 3시기에 해당한다.

    이 총서는 연구팀이 수행한 번역과 해제를 선별하여 경기·함경, 강원·경상·황해, 전라·충청·평안 등 지역별로 나누어 각 권을 배치하였다. 물론 방대한 회의록 중 이 총서가 포괄하는 분량은 매우 적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도·부·읍·면 등 행정단위와 지리적·산업적 특성, 민족적·계층별 분포에 따라 다양한 범주를 설정하여 회의록의 선택과 집중에 힘썼기에, 각 도와 도 사이의 비교나 도의 하위에 포괄되는 여러 행정단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지역의 다층적 구조 속에서 ‘근대적’이고 ‘식민주의적’인 요소가 동시대에 어떻게 병존하는지, 그 관계성의 양상이 지역의 역사지리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전승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총서뿐 아니라 지방의회 회의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집대성한 성과는 앞으로 식민지시기에 대해 보다 폭넓고 심도깊은 연구를 추동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발간사 중-
     
    상품결제정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무료
    • 배송 기간 : 3일 ~ 7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서비스문의 안내
    판매자 정보

    게시물이 없습니다

    글작성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글작성 모두보기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